id:string|body:string|datecreated:date *|19042615350001gce1_201906251006|
학업성취도 평가 정보 서비스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교학로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TEL : 043-931-0114
FAX : 043-931-0884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역사,지리,일반사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역사,지리,일반사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역사,지리,일반사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학업성취도 평가는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일반계)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되며, 평가 대상 교과는 국어, 수학, 영어입니다.
학년 | 교과 | 평가범위 | 시간 |
---|---|---|---|
중학교 3학년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 중 1~2학년 전 과정, 3학년 1학기 과정 | 교과별 60분 |
고등학교 2학년 | 국어, 수학, 영어 | 국어,영어 : 범교과 소재 수학: 고등학교 '수학'과목 | 교과별 50분 |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교과 | 평가 영역 |
---|---|
국어 |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
사회 | 역사,지리,일반사회 |
수학 |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
과학 | 물리,화학, 지구과학, 생물 |
영어 |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학생 및 학교 특성 변인을 파악하고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설문조사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 및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되며, 학생 및 학교 대상 설문의 구성 요인 및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역 | 하위 영역 | 변수명 |
---|---|---|
가정환경 및 일상생활 | 가정환경 | 부모 및 가족과의 활동, 도서 보유 정도 |
개인특성 | 독서시간, 운동시간 | |
학교생활 | 학습태도, 방법 및 이해도 | 수업준비도 및 태도, 수업참여도 |
학교생활 행복도 | 심리적응도(교우 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 교육환경 만족도 (학교 풍토 등) | |
진로 탐색 | 진로 성숙도 | 진로에 대한 태도, 진로 탐색 및 의사결정 |
방과 후 활동 | 방과 후 학습 시간 | 방과후학교, EBS강의, 사교육 |
여가 시간 | IT활동(컴퓨터나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 | |
학습방법 | 학업적 효능감 | 학업적 자기효능감 |
교과태도(흥미, 가치) | 국어 교과태도, 수학 교과태도, 영어 교과태도 |
영역 | 하위 영역 | 변수명 |
---|---|---|
학교장 특성 | 학교장 | 학교장 개인배경, 교장공모제여부, 학교장 경력 |
학교의 인적 구성 | 학생 구성 | 학생 수, 소외계층비율 |
교원 특성 | 교원 현황, 교사 연수 현황 | |
교육과정 및 학교풍토 | 수업 및 프로그램 |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관련 중점사항, 학습부진 학생 지도, 평가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지도, 방과후학교 |
학교풍토 | 교사풍토, 학생풍토, 학부모풍토, 학부모의 학교 행사 참여, 학교장 학교 운영 |
학업성취도 평가는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일반계)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되며, 평가 대상 교과는 국어, 수학, 영어입니다.
학년 | 교과 | 평가범위 | 시간 |
---|---|---|---|
중학교 3학년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 중 1~2학년 전 과정, 3학년 1학기 과정 | 교과별 60분 |
고등학교 2학년 | 국어, 수학, 영어 | 국어,영어 : 범교과 소재 수학: 고등학교 '수학'과목 | 교과별 50분 |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교과 | 평가 영역 |
---|---|
국어 |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
사회 | 역사,지리,일반사회 |
수학 |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
과학 | 물리,화학, 지구과학, 생물 |
영어 |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학생 및 학교 특성 변인을 파악하고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설문조사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 및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되며, 학생 및 학교 대상 설문의 구성 요인 및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역 | 하위 영역 | 변수명 |
---|---|---|
가정환경 및 일상생활 | 가정환경 | 부모 및 가족과의 활동, 도서 보유 정도 |
개인특성 | 독서시간, 운동시간 | |
학교생활 | 학습태도, 방법 및 이해도 | 수업준비도 및 태도, 수업참여도 |
학교생활 행복도 | 심리적응도(교우 관계, 교사와의 관계 등), 교육환경 만족도 (학교 풍토 등) | |
진로 탐색 | 진로 성숙도 | 진로에 대한 태도, 진로 탐색 및 의사결정 |
방과 후 활동 | 방과 후 학습 시간 | 방과후학교, EBS강의, 사교육 |
여가 시간 | IT활동(컴퓨터나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 | |
학습방법 | 학업적 효능감 | 학업적 자기효능감 |
교과태도(흥미, 가치) | 국어 교과태도, 수학 교과태도, 영어 교과태도 |
영역 | 하위 영역 | 변수명 |
---|---|---|
학교장 특성 | 학교장 | 학교장 개인배경, 교장공모제여부, 학교장 경력 |
학교의 인적 구성 | 학생 구성 | 학생 수, 소외계층비율 |
교원 특성 | 교원 현황, 교사 연수 현황 | |
교육과정 및 학교풍토 | 수업 및 프로그램 |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관련 중점사항, 학습부진 학생 지도, 평가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진로지도, 방과후학교 |
학교풍토 | 교사풍토, 학생풍토, 학부모풍토, 학부모의 학교 행사 참여, 학교장 학교 운영 |
1998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기본 계획⌋이 수립 이후 현재까지 학업성취도 평가에는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평가의 목적, 대상, 시기, 영역, 평가 유형, 표집 방법, 점수체제, 설문조사 범위와 내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꾸준히 변화·발전해 왔다. 1998년 기본계획 수립부터 현재까지 추진된 학업성취도 평가의 연도별 주요 내용을 시기별로 구분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 | 개요 | 평가대상 | 평가영역 | 평가시기 |
---|---|---|---|---|
2019 | • 표집 평가 시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3% 내외)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표집학교별 평가 결과 제공 | 중3 고2 | (표집)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고: 국어, 수학, 영어 | 6월 13일(목) |
2018 | • 표집 평가 시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3% 내외)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표집학교별 평가 결과 제공 | 중3 고2 | (표집)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고: 국어, 수학, 영어 | 6월 19일(화) |
2017 | • 표집 평가 시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3% 내외)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표집학교별 평가 결과 제공 | 중3 고2 | (표집)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고: 국어, 수학, 영어 | 6월 20일(화) |
연도 | 개요 | 평가대상 | 평가영역 | 평가시기 |
---|---|---|---|---|
2016 |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1.5% 내외)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학교별 평가 결과, 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중3 고2 | (전수) 중,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중: 사회, 과학 | 6월 21일 |
2015 |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1.5% 내외)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수준 재설정 및 재척도화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학교별 평가 결과, 중·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중3 고2 | (전수) 중,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중: 사회, 과학 | 6월 23일 |
2014 |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1.5% 내외) • 학교별 평가 결과, 중·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중3 고2 | (전수) 중,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중: 사회, 과학 | 6월 24일 |
2013 | • 초등학교 6학년 평가 폐지 • 중학교 3학년 사회, 과학 표집평가로 전환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 수집을 위한 표집 (1.5% 내외) • 학교별 평가 결과, 중·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평가원에서 학생용 평가 결과표 출력 및 배부 | 중3 고2 | (전수) 중,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중: 사회, 과학 | 6월 25일 |
2012 |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 수집을 위한 표집 (1.5% 내외) • 학교별 평가 결과, 중·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양식 개선 | 초6 중3 고2 | (전수) 초, 고: 국어, 수학, 영어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초: 사회, 과학 | 6월 26일~ 27일(2일 실시) |
2011 | •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과학은 표집평가로 전환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약 1%) • 학교별 평가 결과, 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학생용 평가 결과표 개선(학생의 성취도 정보 상세화 및 정교화) | 초6 중3 고2 | (전수) 초, 고: 국어, 수학, 영어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초: 사회, 과학 | 7월 12일 ~ 13일(2일 실시) |
2010 | • 전수 평가 • 동등화 자료 수집을 위한 표집(약 1%) • 보정교육 기간 확보를 위해 평가시기를 10월에서 7월로 조정 • 고등학교는 평가 대상을 2학년으로 변경하면서 평가 교과를 국어, 수학, 영어로 축소 • 학교별 평가 결과(보통학력 이상, 기초학력, 기초미달 비율) 의무 공시 | 초6 중3 고2 | 초,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7월 13일 ~ 14일(2일 실시) |
2009 | • 전수 평가로 전환 • 동등화 자료 수집을 위한 표집(약 1%) | 초6 중3 고1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3일 ~ 14일(2일 실시) |
연도 | 개요 | 평가대상 | 평가영역 | 평가시기 | |
---|---|---|---|---|---|
학년 | 비율 | ||||
2008 | • 집중교과: 사회, 과학, 영어 • 모든 교과 검사지 2종 개발및 시행 •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표집 비율 확대 • 평가원 주관 표집 평가 시행, 시·도 교육청 주관 전수 시행 | 초6 중3 고1 | 4% 5% 5%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4일 ~ 15일(2일 실시) |
2007 | • 집중교과: 국어, 수학 • 모든 교과 검사지 2종 개발 및 시행 • 고등학교 1학년 표집 비율 확대 | 초6 중3 고1 | 3% 3% 5%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6일 ~ 17일(2일 실시) |
2006 | • 집중교과: 사회, 과학, 영어 • 모든 교과 검사지 2종 개발 및 시행 •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표집 비율 확대 | 초6 중3 고1 | 3% 3% 3%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8일 ~ 19일(2일 실시) |
2005 | • 집중교과: 국어, 수학 • 모든 교과 검사지 2종 개발 및 시행 • 집중교과는 배경변인 중 교과 관련 내용 포함 | 초6 중3 고1 | 1% 1% 3%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9일 ~ 20일(2일 실시) |
2004 | • 집중교과: 사회, 과학, 영어 • 집중교과 검사지 2종 개발 및 시행 • 고등학교 1학년 표집 비율 확대 | 초6 중3 고1 | 1% 1% 3%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20일 ~ 21일(2일 실시) |
2003 | • 추이 분석의 기준 연도를 2003년으로 설정 • 검사 동등화 방법 개발 및 적용 • 평가 교과를 집중/기본교과로 이원화 • 집중교과는 검사지 2종으로 개발 및 시행 • 집중교과: 국어, 수학 | 초6 중3 고1 | 1% 1% 1%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22일 ~ 23일(2일 실시) |
2002 | • 평가 시기 11월로 조정 및 평가 기간 2일간으로 확대 • 고등학교 평가 대상을 2학년에서 1학년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종료 시점)으로 조정 • 초등학교 6학년 평가 교과에 영어 포함 | 초6 중3 고1 | 1% 1% 1%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1월 25일 ~ 26일(2일 실시) |
2001 | • 5개 교과 본검사 실시 • 표집 비율 확대 • 평가 대상에 고등학교 1학년 추가 • 초등학교 6학년은 평가 교과에서 영어 제외 | 초6 중3 고1 고2 | 1% 1% 1% 1%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6월28일 |
2000 | • 사회, 수학 본검사 실시 및 배경변인 설문조사 • 국어, 과학, 영어의 평가틀, 성취기준, 예비문항 개발, 예비검사 실시 | 초6 중3 고2 | 0.5% 0.5% 0.5% | 사회, 수학, 교육맥락변인 | 6월28일 |
1999 | • 사회, 수학의 평가틀과 성취기준, 예비문항 개발, 예비검사 실시 • 배경변인 설문지 개방 | 초6 중3 고2 | - | 사회, 수학, 교육맥락변인 | 9월 중순 |
1998 | • 기본계획 수립 |
1998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기본 계획⌋이 수립 이후 현재까지 학업성취도 평가에는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평가의 목적, 대상, 시기, 영역, 평가 유형, 표집 방법, 점수체제, 설문조사 범위와 내용 등 다양한 측면에서 꾸준히 변화·발전해 왔다. 1998년 기본계획 수립부터 현재까지 추진된 학업성취도 평가의 연도별 주요 내용을 시기별로 구분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 | 개요 | 평가대상 | 평가영역 | 평가시기 |
---|---|---|---|---|
2019 | • 표집 평가 시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3% 내외)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표집학교별 평가 결과 제공 | 중3 고2 | (표집)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고: 국어, 수학, 영어 | 6월 13일(목) |
2018 | • 표집 평가 시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3% 내외)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표집학교별 평가 결과 제공 | 중3 고2 | (표집)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고: 국어, 수학, 영어 | 6월 19일(화) |
2017 | • 표집 평가 시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3% 내외)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표집학교별 평가 결과 제공 | 중3 고2 | (표집)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고: 국어, 수학, 영어 | 6월 20일(화) |
연도 | 개요 | 평가대상 | 평가영역 | 평가시기 |
---|---|---|---|---|
2016 |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1.5% 내외)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학교별 평가 결과, 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중3 고2 | (전수) 중,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중: 사회, 과학 | 6월 21일 |
2015 |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1.5% 내외)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수준 재설정 및 재척도화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온라인 제공 • 학교별 평가 결과, 중·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중3 고2 | (전수) 중,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중: 사회, 과학 | 6월 23일 |
2014 |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1.5% 내외) • 학교별 평가 결과, 중·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중3 고2 | (전수) 중,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중: 사회, 과학 | 6월 24일 |
2013 | • 초등학교 6학년 평가 폐지 • 중학교 3학년 사회, 과학 표집평가로 전환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 수집을 위한 표집 (1.5% 내외) • 학교별 평가 결과, 중·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평가원에서 학생용 평가 결과표 출력 및 배부 | 중3 고2 | (전수) 중,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중: 사회, 과학 | 6월 25일 |
2012 |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 수집을 위한 표집 (1.5% 내외) • 학교별 평가 결과, 중·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학생용 평가 결과표 양식 개선 | 초6 중3 고2 | (전수) 초, 고: 국어, 수학, 영어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초: 사회, 과학 | 6월 26일~ 27일(2일 실시) |
2011 | •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과학은 표집평가로 전환 • 표집 및 전수 평가 병행 • 동등화 자료수집을 위한 표집(약 1%) • 학교별 평가 결과, 고등학교 향상도 의무 공시 • 학생용 평가 결과표 개선(학생의 성취도 정보 상세화 및 정교화) | 초6 중3 고2 | (전수) 초, 고: 국어, 수학, 영어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표집) 초: 사회, 과학 | 7월 12일 ~ 13일(2일 실시) |
2010 | • 전수 평가 • 동등화 자료 수집을 위한 표집(약 1%) • 보정교육 기간 확보를 위해 평가시기를 10월에서 7월로 조정 • 고등학교는 평가 대상을 2학년으로 변경하면서 평가 교과를 국어, 수학, 영어로 축소 • 학교별 평가 결과(보통학력 이상, 기초학력, 기초미달 비율) 의무 공시 | 초6 중3 고2 | 초, 중: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고: 국어, 수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7월 13일 ~ 14일(2일 실시) |
2009 | • 전수 평가로 전환 • 동등화 자료 수집을 위한 표집(약 1%) | 초6 중3 고1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3일 ~ 14일(2일 실시) |
연도 | 개요 | 평가대상 | 평가영역 | 평가시기 | |
---|---|---|---|---|---|
학년 | 비율 | ||||
2008 | • 집중교과: 사회, 과학, 영어 • 모든 교과 검사지 2종 개발및 시행 •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표집 비율 확대 • 평가원 주관 표집 평가 시행, 시·도 교육청 주관 전수 시행 | 초6 중3 고1 | 4% 5% 5%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4일 ~ 15일(2일 실시) |
2007 | • 집중교과: 국어, 수학 • 모든 교과 검사지 2종 개발 및 시행 • 고등학교 1학년 표집 비율 확대 | 초6 중3 고1 | 3% 3% 5%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6일 ~ 17일(2일 실시) |
2006 | • 집중교과: 사회, 과학, 영어 • 모든 교과 검사지 2종 개발 및 시행 •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표집 비율 확대 | 초6 중3 고1 | 3% 3% 3%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8일 ~ 19일(2일 실시) |
2005 | • 집중교과: 국어, 수학 • 모든 교과 검사지 2종 개발 및 시행 • 집중교과는 배경변인 중 교과 관련 내용 포함 | 초6 중3 고1 | 1% 1% 3%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19일 ~ 20일(2일 실시) |
2004 | • 집중교과: 사회, 과학, 영어 • 집중교과 검사지 2종 개발 및 시행 • 고등학교 1학년 표집 비율 확대 | 초6 중3 고1 | 1% 1% 3%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20일 ~ 21일(2일 실시) |
2003 | • 추이 분석의 기준 연도를 2003년으로 설정 • 검사 동등화 방법 개발 및 적용 • 평가 교과를 집중/기본교과로 이원화 • 집중교과는 검사지 2종으로 개발 및 시행 • 집중교과: 국어, 수학 | 초6 중3 고1 | 1% 1% 1%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0월 22일 ~ 23일(2일 실시) |
2002 | • 평가 시기 11월로 조정 및 평가 기간 2일간으로 확대 • 고등학교 평가 대상을 2학년에서 1학년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종료 시점)으로 조정 • 초등학교 6학년 평가 교과에 영어 포함 | 초6 중3 고1 | 1% 1% 1%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11월 25일 ~ 26일(2일 실시) |
2001 | • 5개 교과 본검사 실시 • 표집 비율 확대 • 평가 대상에 고등학교 1학년 추가 • 초등학교 6학년은 평가 교과에서 영어 제외 | 초6 중3 고1 고2 | 1% 1% 1% 1% |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육맥락변인 | 6월28일 |
2000 | • 사회, 수학 본검사 실시 및 배경변인 설문조사 • 국어, 과학, 영어의 평가틀, 성취기준, 예비문항 개발, 예비검사 실시 | 초6 중3 고2 | 0.5% 0.5% 0.5% | 사회, 수학, 교육맥락변인 | 6월28일 |
1999 | • 사회, 수학의 평가틀과 성취기준, 예비문항 개발, 예비검사 실시 • 배경변인 설문지 개방 | 초6 중3 고2 | - | 사회, 수학, 교육맥락변인 | 9월 중순 |
1998 | • 기본계획 수립 |
iNAEA 연구 지원 서비스에서 2019년 연구 공모 계획을 통해 일반연구자에게 제공할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data) 내역과 공모 일정은 다음과 같다.
<표 3>2019년iNAEA 학술연구일정
세부내용 | 일정 |
---|---|
연구계획서 접수 | 4월 29일(월) ∼ 5월 10일(금) |
계획서 검토 | 5월 14일(화) ∼ 5월 24일(금) |
자료 제공 | 5월 말 ∼6월 초 |
연구 수행 기간 | 자료 제공일∼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제출 | 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검토 및 수정 | 9월 3일(화)∼9월 11일(수) |
세미나 개최 | 9월 18일(수) (장소: 미정 ) |
<표 2> 2019년iNAEA 서비스 학술 연구 지원 데이터 제공 목록
유형 | 상세 내용 | 자료 유형 |
---|---|---|
전수 자료 | ∙2009∼2016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2년 학업성취도 평가(초6)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전수설문응답 |
표집 자료 | ∙2003∼2008년 학업성취도 평가(초,중,고) - 표집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2009∼2012년 학업 성취도 평가(초6) | 척도점수 성취수준 표집설문응답 |
동일 학생 연계 자료 | ∙2009년(고1)-2010년(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09년(초6)-2012년(중3)-2014(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0년(초6)-2013년(중3)-2015(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1년(초6)-2014년(중3)-2016(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
<표 4> iNAEA 연도별 학교장 및 학생,교사 설문지
연도 | 학교장설문지 | 학생설문지 | 교사설문지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표집 | 전수 | 표집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2003 | ||||||||||||
2004 | ||||||||||||
2005 | ||||||||||||
2006 | ||||||||||||
2007 | ||||||||||||
2008 | ||||||||||||
2009 | ||||||||||||
2010 | ||||||||||||
2011 | ||||||||||||
2012 | ||||||||||||
2013 | ||||||||||||
2014 | ||||||||||||
2015 | ||||||||||||
2016 | ||||||||||||
2017 |
iNAEA 연구 지원 서비스에서 2019년 연구 공모 계획을 통해 일반연구자에게 제공할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data) 내역과 공모 일정은 다음과 같다.
<표 3>2019년iNAEA 학술연구일정
세부내용 | 일정 |
---|---|
연구계획서 접수 | 4월 29일(월) ∼ 5월 10일(금) |
계획서 검토 | 5월 14일(화) ∼ 5월 24일(금) |
자료 제공 | 5월 말 ∼6월 초 |
연구 수행 기간 | 자료 제공일∼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제출 | 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검토 및 수정 | 9월 3일(화)∼9월 11일(수) |
세미나 개최 | 9월 18일(수) (장소: 미정 ) |
<표 2> 2019년iNAEA 서비스 학술 연구 지원 데이터 제공 목록
유형 | 상세 내용 | 자료 유형 |
---|---|---|
전수 자료 | ∙2009∼2016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2년 학업성취도 평가(초6)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전수설문응답 |
표집 자료 | ∙2003∼2008년 학업성취도 평가(초,중,고) - 표집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2009∼2012년 학업 성취도 평가(초6) | 척도점수 성취수준 표집설문응답 |
동일 학생 연계 자료 | ∙2009년(고1)-2010년(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09년(초6)-2012년(중3)-2014(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0년(초6)-2013년(중3)-2015(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1년(초6)-2014년(중3)-2016(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
<표 4> iNAEA 연도별 학교장 및 학생,교사 설문지
연도 | 학교장설문지 | 학생설문지 | 교사설문지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표집 | 전수 | 표집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2003 | ||||||||||||
2004 | ||||||||||||
2005 | ||||||||||||
2006 | ||||||||||||
2007 | ||||||||||||
2008 | ||||||||||||
2009 | ||||||||||||
2010 | ||||||||||||
2011 | ||||||||||||
2012 | ||||||||||||
2013 | ||||||||||||
2014 | ||||||||||||
2015 | ||||||||||||
2016 | ||||||||||||
2017 |
본 연구의 현장연구 지원 서비스에서는 2018년 전국 중학교 국어,수학,영어교사와 함께 하는 워크숍을 통해 맞춤형 학력진단검사 시스템을 단위학교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세부 일정은 다음과 같다.
<표> 2018년iNAEA 서비스 현장 연구(워크숍) 일정
구분 | 내용 |
---|---|
일시 | 2018년 9월 19일(수) 15:00 ~ 18:00 |
장소 | 코리아나호텔 7층 |
주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내용 |
|
본 연구의 현장연구 지원 서비스에서는 2018년 전국 중학교 국어,수학,영어교사와 함께 하는 워크숍을 통해 맞춤형 학력진단검사 시스템을 단위학교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세부 일정은 다음과 같다.
<표> 2018년iNAEA 서비스 현장 연구(워크숍) 일정
구분 | 내용 |
---|---|
일시 | 2018년 9월 19일(수) 15:00 ~ 18:00 |
장소 | 코리아나호텔 7층 |
주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내용 |
|
iNAEA 연구 지원 서비스에서 2019년 연구 공모 계획을 통해 일반연구자에게 제공할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data) 내역과 공모 일정은 다음과 같다.
<표 3>2019년iNAEA 학술연구일정
세부내용 | 일정 |
---|---|
연구계획서 접수 | 4월 29일(월) ∼ 5월 10일(금) |
계획서 검토 | 5월 14일(화) ∼ 5월 24일(금) |
자료 제공 | 5월 말 ∼6월 초 |
연구 수행 기간 | 자료 제공일∼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제출 | 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검토 및 수정 | 9월 3일(화)∼9월 11일(수) |
세미나 개최 | 9월 18일(수) (장소: 미정 ) |
<표 2> 2019년iNAEA 서비스 학술 연구 지원 데이터 제공 목록
유형 | 상세 내용 | 자료 유형 |
---|---|---|
전수 자료 | ∙2009∼2016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2년 학업성취도 평가(초6)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전수설문응답 |
표집 자료 | ∙2003∼2008년 학업성취도 평가(초,중,고) - 표집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2009∼2012년 학업 성취도 평가(초6) | 척도점수 성취수준 표집설문응답 |
동일 학생 연계 자료 | ∙2009년(고1)-2010년(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09년(초6)-2012년(중3)-2014(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0년(초6)-2013년(중3)-2015(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1년(초6)-2014년(중3)-2016(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
<표 4> iNAEA 연도별 학교장 및 학생,교사 설문지
연도 | 학교장설문지 | 학생설문지 | 교사설문지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표집 | 전수 | 표집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2003 | ||||||||||||
2004 | ||||||||||||
2005 | ||||||||||||
2006 | ||||||||||||
2007 | ||||||||||||
2008 | ||||||||||||
2009 | ||||||||||||
2010 | ||||||||||||
2011 | ||||||||||||
2012 | ||||||||||||
2013 | ||||||||||||
2014 | ||||||||||||
2015 | ||||||||||||
2016 | ||||||||||||
2017 |
iNAEA 연구 지원 서비스에서 2019년 연구 공모 계획을 통해 일반연구자에게 제공할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data) 내역과 공모 일정은 다음과 같다.
<표 3>2019년iNAEA 학술연구일정
세부내용 | 일정 |
---|---|
연구계획서 접수 | 4월 29일(월) ∼ 5월 10일(금) |
계획서 검토 | 5월 14일(화) ∼ 5월 24일(금) |
자료 제공 | 5월 말 ∼6월 초 |
연구 수행 기간 | 자료 제공일∼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제출 | 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검토 및 수정 | 9월 3일(화)∼9월 11일(수) |
세미나 개최 | 9월 18일(수) (장소: 미정 ) |
<표 2> 2019년iNAEA 서비스 학술 연구 지원 데이터 제공 목록
유형 | 상세 내용 | 자료 유형 |
---|---|---|
전수 자료 | ∙2009∼2016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2년 학업성취도 평가(초6)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전수설문응답 |
표집 자료 | ∙2003∼2008년 학업성취도 평가(초,중,고) - 표집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2009∼2012년 학업 성취도 평가(초6) | 척도점수 성취수준 표집설문응답 |
동일 학생 연계 자료 | ∙2009년(고1)-2010년(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09년(초6)-2012년(중3)-2014(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0년(초6)-2013년(중3)-2015(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1년(초6)-2014년(중3)-2016(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
<표 4> iNAEA 연도별 학교장 및 학생,교사 설문지
연도 | 학교장설문지 | 학생설문지 | 교사설문지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표집 | 전수 | 표집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2003 | ||||||||||||
2004 | ||||||||||||
2005 | ||||||||||||
2006 | ||||||||||||
2007 | ||||||||||||
2008 | ||||||||||||
2009 | ||||||||||||
2010 | ||||||||||||
2011 | ||||||||||||
2012 | ||||||||||||
2013 | ||||||||||||
2014 | ||||||||||||
2015 | ||||||||||||
2016 | ||||||||||||
2017 |
iNAEA 연구 지원 서비스에서 2019년 연구 공모 계획을 통해 일반연구자에게 제공할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data) 내역과 공모 일정은 다음과 같다.
<표 3>2019년iNAEA 학술연구일정
세부내용 | 일정 |
---|---|
연구계획서 접수 | 4월 29일(월) ∼ 5월 10일(금) |
계획서 검토 | 5월 14일(화) ∼ 5월 24일(금) |
자료 제공 | 5월 말 ∼6월 초 |
연구 수행 기간 | 자료 제공일∼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제출 | 9월 2일(월) |
연구보고서 검토 및 수정 | 9월 3일(화)∼9월 11일(수) |
세미나 개최 | 9월 18일(수) (장소: 미정 ) |
<표 2> 2019년iNAEA 서비스 학술 연구 지원 데이터 제공 목록
유형 | 상세 내용 | 자료 유형 |
---|---|---|
전수 자료 | ∙2009∼2016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2년 학업성취도 평가(초6) - 전수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전수설문응답 |
표집 자료 | ∙2003∼2008년 학업성취도 평가(초,중,고) - 표집 데이터, 학교․학생․교사 설문 자료 ∙2009∼2017년 학업성취도 평가(중3, 고2) ∙2009∼2012년 학업 성취도 평가(초6) | 척도점수 성취수준 표집설문응답 |
동일 학생 연계 자료 | ∙2009년(고1)-2010년(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09년(초6)-2012년(중3)-2014(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0년(초6)-2013년(중3)-2015(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2011년(초6)-2014년(중3)-2016(고2) 학업성취도 연계 자료 | 척도점수/ 성취수준 |
<표 4> iNAEA 연도별 학교장 및 학생,교사 설문지
연도 | 학교장설문지 | 학생설문지 | 교사설문지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표집 | 전수 | 표집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2003 | ||||||||||||
2004 | ||||||||||||
2005 | ||||||||||||
2006 | ||||||||||||
2007 | ||||||||||||
2008 | ||||||||||||
2009 | ||||||||||||
2010 | ||||||||||||
2011 | ||||||||||||
2012 | ||||||||||||
2013 | ||||||||||||
2014 | ||||||||||||
2015 | ||||||||||||
2016 | ||||||||||||
2017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역사,지리,일반사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역사,지리,일반사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역사,지리,일반사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역사,지리,일반사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This is where we sit down, grab a cup of coffee and dial in the details. Understanding the task at hand and ironing out the wrinkles is key. Now that we've aligned the details, it's time to get things mapped out and organized.
더 알아보기학업성취지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교육성과 지표로서, 학교교육의 현황 및 성과에 관한 타당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효율적 정책결정과 적절한 교육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현황 및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매년 실시됩니다.
2019년에는 6월 13일(목)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보도자료
[학업성취도평가 표집학교 상세정보] 정보 제공 및 회원가입 문의 사항 안내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교육의 결과인 학생 성취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철저하게 분석한 후 교과별 평가 영역에 따라 평가문항을 개발합니다. 국어 교과에서는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5개 영역, 사회 교과는 일반사회, 역사 지리, 수학 교과에서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의 5개 영역, 과학 교과는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4개 영역, 영어 교과에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개 영역을 평가합니다.
평가문항 수는 교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약 30~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은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으로 구성되며, 서답형 문항은 전체 문항의 20~30% 정도를 유지합니다.
듣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역사,지리,일반사회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기하, 함수, 확률과 통계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 교육과정 도달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각 교과에 대한 학생의 학업성취 결과는 교육과정 도달 정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의 4가지 성취수준으로 보고된다. 또한, 학생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교과의 평가 영역별 성취율 정보를 제공한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 교육과정 도달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각 교과에 대한 학생의 학업성취 결과는 교육과정 도달 정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의 4가지 성취수준으로 보고된다. 또한, 학생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교과의 평가 영역별 성취율 정보를 제공한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 교육과정 도달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각 교과에 대한 학생의 학업성취 결과는 교육과정 도달 정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의 4가지 성취수준으로 보고된다. 또한, 학생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교과의 평가 영역별 성취율 정보를 제공한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 교육과정 도달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각 교과에 대한 학생의 학업성취 결과는 교육과정 도달 정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의 4가지 성취수준으로 보고된다. 또한, 학생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교과의 평가 영역별 성취율 정보를 제공한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국가 교육과정 도달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 각 교과에 대한 학생의 학업성취 결과는 교육과정 도달 정도에 따라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의 4가지 성취수준으로 보고된다. 또한, 학생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교과의 평가 영역별 성취율 정보를 제공한다.
학업성취도 평가 정보 서비스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교학로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TEL : 043-931-0114
FAX : 043-931-0884
학업성취도 평가 정보 서비스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교학로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TEL : 043-931-0114
FAX : 043-931-0884
댓글